맨위로가기

오토 프레민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토 프레민저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영화감독이자 배우이다. 1931년 영화 《위대한 사랑》으로 데뷔하여, 《로라》(1944)로 아카데미 감독상 후보에 올랐다. 그는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 《살인의 해부》 등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던 주제를 다룬 영화들을 제작하며 검열 제도에 도전했고, 《영광의 탈출》(1960)에서는 할리우드 블랙리스트에 오른 작가를 기용하여 블랙리스트 철폐에 기여했다. 감독뿐만 아니라 배우로도 활동하며, 《제17 포로수용소》에 출연하기도 했다. 1986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계 우크라이나인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1978년 우크라이나 출생으로 코미디 배우 출신이며, 201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당선되어 친서방 외교 노선을 추구하다가 2022년 러시아의 침공 이후 자국 방어에 헌신했다.
  • 유대계 우크라이나인 - 데니스 시미할
    데니스 시미할은 경제학 학위를 받고 회계사 및 경영자로 활동하다 르비우주 정부직과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 주지사를 거쳐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우크라이나 총리를 역임한 정치인이다.
  • 오스트리아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크리스토프 발츠
    오스트리아 빈 출신의 배우 크리스토프 발츠는 유럽에서 연극 배우로 활동하다가 영화 《잉글로리어스 바스터즈》의 한스 란다 역으로 칸 영화제 남우주연상과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후, 《장고: 분노의 추적자》에서도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하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남자 텔레비전 배우 - 아놀드 슈워제네거
    아놀드 슈워제네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으로 보디빌더로서 명성을 얻고 할리우드 액션 스타로 성공했으며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역임한 배우이자 사업가, 정치인이다.
  • 오스트리아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피터 L. 버거
    피터 L. 버거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사회학자로서, 사회학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고 사회적 현실 구성 과정을 설명했으며, 종교 사회학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종교적 역할을 탐구했다.
  • 오스트리아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카를 란트슈타이너
    오스트리아 출신의 병리학자이자 면역학자인 카를 란트슈타이너는 ABO식 혈액형 발견으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으며, 수혈 의학 발전과 폴리오 바이러스 분리, M, N, P 혈액형 및 Rh 인자 발견 등 면역학 및 바이러스학 분야에 크게 기여하여 '수혈 의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오토 프레민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6년 오토 프레밍거
1976년 오토 프레밍거, 앨런 워렌 촬영
본명오토 루트비히 프레밍거
출생일1905년 12월 5일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부코비나 공국 비지니차 (현재의 우크라이나 체르니우치주 비지니차)
사망일1986년 4월 23일
사망지미국 뉴욕주 뉴욕
국적오스트리아
직업영화 감독, 영화 프로듀서, 배우
활동 기간1924년–1979년
학력빈 대학교
배우자매리언 밀 (1932년 결혼, 1949년 이혼)
메리 가드너 (1951년 결혼, 1960년 이혼)
호프 브라이스 (1971년 결혼)
자녀에리크를 포함한 3명
친척잉고 프레밍거 (형제)
수상
베를린 국제 영화제동곰상 1955년 《카르멘》

2. 생애와 경력

오토 프레민저는 190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부코비나 공국(현재의 우크라이나 비즈니차)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5] 아버지 마르쿠스 프레민저는 법률가였고, 그 역시 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7] 그러나 연극에 매료되어 17세에 막스 라인하르트의 극단에 참여하면서 연출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처음에는 배우로 시작했지만, 이후 무대 감독으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28]

1931년, 프레민저는 영화 데뷔작 《위대한 사랑》을 연출하여 20세기 폭스의 주목을 받고 할리우드에 진출했다. 그러나 소속사 사장과의 불화로 인해 영화 연출을 중단하고, 브로드웨이에서 배우로 활동했다.[28][29] 그는 유대인이었지만 오스트리아 억양과 악역에 어울리는 외모 덕분에,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이 혐오했던 나치 역할을 여러 번 맡았다.[29] 빌리 와일더 감독의 《제17 포로 수용소》에서는 포로 수용소 소장 역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

1944년, 프레민저는 할리우드로 돌아와 영화 《로라》를 연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영화는 아카데미상 후보에도 오르며 프레민저의 재기를 알렸다.[28] 이후 《타락한 천사》,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 《살인의 해부》 등 화제작을 잇따라 발표하며 명성을 굳혔다. 특히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는 마약 중독 문제를, 《살인의 해부》는 강간 문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논란을 일으켰다.[29]

1950년대부터 프레민저는 프로듀서 겸 감독으로서 당시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던 주제들을 다룬 영화들을 제작하며 검열 제도에 정면으로 도전했다. 1953년에는 《달은 푸르게 뜨고》에서 '처녀', '임신' 등의 단어 사용을 문제 삼는 제작 윤리 강령에 맞서 싸웠고, 제작 윤리 강령 승인 없이 영화를 개봉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28] 1960년 영화 《영광의 탈출》에서는 매카시즘 시대에 블랙리스트에 올랐던 시나리오 작가 달튼 트럼보를 기용하여 할리우드 블랙리스트 철폐에 기여했다.

프레민저는 감독뿐만 아니라 배우로도 활동했으며, 특히 나치 장교나 악역 캐릭터를 주로 연기했다. 1986년 알츠하이머병과 암으로 맨해튼의 자택에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0]

2. 1. 초기 생애

190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부코비나 공국(현재의 우크라이나 비즈니차)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5] 아버지 마르쿠스 프레민저는 슈타이어마르크주 주도인 그라츠에서 검사직을 얻기도 하였으며, 빈에서는 미국 법무부 장관과 동등한 지위를 제안받았지만 가톨릭으로 개종해야 했기에 거절했다고 알려진다.

빈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였으나,[7] 연극에 대한 열정으로 17세에 막스 라인하르트의 극단에 참여했다. 처음에는 배우로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무대 감독으로 활동하였다.

2. 2. 유럽에서의 활동

1923년, 프레밍거는 17세 때 빈 출신의 유명 연출가 막스 라인하르트가 빈에 극단을 설립할 계획을 발표하자, 그에게 매주 오디션을 요청하는 편지를 썼다. 몇 달 후, 프레밍거는 이틀이나 놓친 오디션 날짜가 적힌 편지를 받았다.[28]

그는 대학교와 라인하르트의 견습생으로서의 새로운 지위를 병행했다. 두 사람은 멘토-제자 관계를 발전시켜 신뢰할 수 있는 친구이자 스승이 되었다. 1924년 4월 1일에 극장이 개장했을 때, 프레밍거는 라인하르트가 연출한 카를로 골도니의 희극 《두 주인의 하인》에서 가구 운반자로 출연했다. 그의 다음 출연은 다음 달 윌리엄 디터레와 함께 베니스의 상인에 출연한 것이었다. 프레밍거가 같은 해 함께 일하게 될 다른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매디 크리스찬스와 노라 그레고르가 있었다.[28]

이후, 프레밍거는 더 이상 부하의 자리에 만족하지 못하고 라인하르트의 극단을 떠나기로 결정했다. 라인하르트의 제자였다는 점은 독일어권 극장에 합류할 때 경쟁자들보다 유리하게 작용했다. 아시크에서 감독으로서 그의 첫 번째 극장 배정은 성적으로 도발적인 프랑크 베데킨트의 《룰루》 연극에서 베를린에서 시도된 멜로드라마인 세르게이 트레티야코프의 연극 《중국을 외쳐라!》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28]

1930년, 그라츠 출신의 부유한 산업가가 오토에게 디 그로세 리베|Die große Liebede(《위대한 사랑》)라는 영화를 연출하라는 제안을 했다. 프레밍거는 연극만큼 영화에 열정을 느끼지 못했지만, 이 제안을 받아들였다. 이 영화는 1931년 12월 21일 의 황제 극장에서 초연되어 호평과 흥행을 거두었다. 1931년부터 1935년까지 그는 26개의 쇼를 연출했다.[28]

프레밍어(앉아 있음)와 (왼쪽부터) 리안 하이드, 오스카 칼바이스, 폴 아브라함, 티보르 할마이, 로지 바르소니 (1934년)

2. 3. 할리우드 진출과 좌절

1935년 20세기 폭스의 초청으로 할리우드에 진출했으나, 소속사 사장과의 불화로 영화 연출을 그만두고 한동안 연극 무대에서 배우로 활동했다.[28][29] 나치가 대두되면서 브로드웨이에서 일하게 되었는데, 유대인이었지만 오스트리아 억양과 악역에 어울리는 외모 때문에 혐오했던 나치 인물 역할을 여러 번 맡게 되었다. 빌리 와일더 감독의 제17 포로 수용소에서는 포로 수용소 소장 역을 맡아 적역이라는 평가를 받았다.[29]

2. 4. 재기와 성공

할리우드로 돌아와 연출한 1944년작 《로라》는 크게 성공하고 아카데미상 후보에도 오르는 등 재기에 성공했다.[28] 이 영화는 멜로 드라마풍의 필름 느와르로, 대릴 F. 자눅과 프레밍어 모두 루벤 마물리안 감독의 연출 방식에 불만을 품어 프레밍어가 직접 감독을 맡게 되었다. 《로라》를 통해 프레밍어는 신진 영화감독으로 주목받았고, 아카데미 감독상 후보에도 올랐다.[29]

이후 《타락한 천사》, 《황금 팔》, 《살인의 해부》 등 화제작을 잇따라 발표하며 명성을 굳혔다. 특히 《황금 팔》은 당시 금기시되던 마약 중독 문제를, 《살인의 해부》는 강간 문제를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논란이 되었다.[29] 1950년대에는 필름 누아르에서 벗어나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만들었다.[29]

1953년에는 브로드웨이 히트작을 영화화한 《달은 푸르게 뜨고》에서 처녀, 임신 등 성적인 대사가 많다는 이유로 미국 영화 제작자 협회가 자율 규제를 시도했지만, 프레밍어는 이에 반발하여 협회를 탈퇴하고 영화 등급 심의 마크 없이 공개를 강행했다. 이 영화는 큰 흥행을 거두며 낡은 영화 윤리 규정 개정의 계기가 되었다.

2. 5. 검열과의 투쟁

1950년대부터 프레민저는 프로듀서 겸 감독으로서 당시 사회적으로 금기시되던 주제들을 다룬 영화들을 제작하며 검열 제도에 정면으로 도전했다. 달은 푸르다(1953)에서는 '처녀', '임신' 등의 단어 사용을 문제 삼는 제작 윤리 강령에 맞서 싸웠고, 제작 윤리 강령 승인 없이 영화를 개봉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28] 넬슨 올그렌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황금 팔을 가진 사나이(1955)는 할리우드 영화 중 최초로 헤로인 마약 중독을 다룬 영화 중 하나였다.[29]

이후, 살인의 해부(1959)는 강간과 성교에 대한 솔직한 법정 토론을 통해 "강간", "정자", "성적 절정", "삽입"과 같은 단어의 사용에 대한 검열관들의 반대에 직면했다. 프레민저는 단 한 가지 양보("삽입" 대신 "침해"로 대체)를 했고, 이 영화는 MPAA의 승인을 받아 개봉되었는데, 이는 제작 윤리 강령의 종말을 알리는 시작이었다.[29]

2. 6. 블랙리스트 타파

프레민저는 1960년 영화 《영광의 탈출》에서 매카시즘 시대에 블랙리스트에 올랐던 시나리오 작가 달튼 트럼보를 기용하여 할리우드 블랙리스트 철폐에 기여했다.

2. 7. 다양한 장르 도전

1950년대에는 필름 누아르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만들었다.[29]

2. 8. 연기 활동

감독뿐만 아니라 배우로도 활동했으며, 특히 나치 장교나 악역 캐릭터를 주로 연기했다. 유대인이었지만 오스트리아 억양이 있었고 악역에 어울리는 외모를 가졌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이 혐오했던 나치 역할[29]을 여러 번 맡았다. 빌리 와일더 감독의 《제17 포로수용소》에서 포로수용소장 역을 맡아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다.[29] TV 시리즈 《배트맨》에서는 미스터 프리즈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29]

2. 9. 후기 활동과 죽음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프레밍거는 이전과 같은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나에게 사랑한다고 말해줘, 주니 문(Tell Me That You Love Me, Junie Moon)》(1970)과 같은 영화들은 비평과 흥행 모두에서 실패했다. 예외적으로, 다이앤 캐논(Dyan Cannon)이 골든 글로브 후보에 오른 《좋은 친구들(Such Good Friends)》(1971)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13]

프레밍거는 텔레비전 시리즈 《배트맨 (TV 시리즈)(Batman)》에서 "미스터 프리즈(Mr. Freeze)" 역으로 특별 출연하여 슈퍼 빌런을 연기하기도 했다.[12]

《서둘러 해질녘(Hurry Sundown)》(1967)은 미국 남부(Southern United States)를 배경으로 인종 및 성적 금기에 도전하려 했으나, 직설적인 접근 방식과 마이클 케인(Michael Caine)의 캐스팅으로 인해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다. 이후에도 《스키두(Skidoo)》(1968), 《로즈버드 (1975년 영화)(Rosebud)》(1975) 등 여러 영화들이 비평과 흥행에서 실패했다. 주요 배우들과의 공개적인 다툼은 그의 명성에 흠집을 냈다.[13] 그의 마지막 영화는 그레이엄 그린(Graham Greene)의 첩보 소설 《휴먼 팩터 (1979년 영화)(The Human Factor)》(1979)를 각색한 작품이었으나, 재정 문제로 거의 개봉되지 못했다.

우드론 묘지에 있는 오토 프레민저의 묘실


1986년, 프레밍거는 맨해튼 어퍼 이스트 사이드 자택에서 폐암으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4] 일부 측근들은 그가 알츠하이머병을 앓았다고 주장했지만, 그의 아내 호프 브라이스는 이를 부인했다.[25] 그는 아내와 세 자녀를 남겼다.[1] 프레밍거는 화장되어 브롱크스에 있는 우드론 묘지에 안치되었다.[26]

3. 연출 스타일 및 성격

오토 프레민저는 롱 테이크와 투 샷을 선호하는 미니멀리즘적인 연출 스타일을 추구했다.[8] 그는 가능한 한 적은 테이크를 촬영하고 "카메라로 컷"하는 방식을 선호했는데, 이는 비용 절감과 함께 스튜디오 임원들이 영화를 재편집하는 것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8]

그러나 이러한 자유로운 사회적 관점과는 달리, 프레민저는 지배적이고 불쾌한 성격과 폭발적인 성미로 악명이 높았다.[8] 촬영 현장에서 독재적인 태도를 보여 "끔찍한 오토"나 "오우거 오토"와 같은 별명을 얻기도 했다.[8]

프레민저는 배우들에게 완벽한 연기를 요구했으며, 특히 경험이 부족한 배우들에게 가혹하게 대했다.[8] 대사를 제대로 외우지 못하는 배우에게는 격분하며 소리를 지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 장 세버그, 톰 트라이온과 같이 프레민저와 함께 작업한 배우들은 그의 가혹한 연출 방식 때문에 정신적인 고통을 겪기도 했다.[8]

4. 개인사

프레민저는 세 번 결혼하고 이혼했다. 1951년부터 1960년까지 모델 메리 가드너와 결혼했다.[20] 첫 번째 부인 메리언과는 1946년 5월에 이혼했는데, 메리언이 부유한 스웨덴 금융가 악셀 베너-그렌을 만나 이혼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이혼은 순조롭게 진행되었지만, 악셀의 아내가 이혼에 동의하지 않아 메리언은 다시 프레민저에게 돌아왔다.[19]

프레민저는 버레스크 공연자 집시 로즈 리와 공개적인 관계를 맺었고, 둘 사이에서 아들 에릭이 태어났다.[19] 그러나 리는 프레민저에게 에릭의 친부를 누구에게도 밝히지 않겠다는 맹세를 받아냈고, 에릭은 오랜 기간 동안 자신의 친부를 알지 못했다. 에릭은 1966년, 프레민저가 60세, 에릭이 22세가 되어서야 아버지와 만났다.[19]

영화 《카르멘 존스》 (1954) 촬영 중에는 주연 배우 도로시 댄드리지와 4년간 연인 관계를 유지했다.[21] 프레민저는 댄드리지에게 경력 관련 조언을 하기도 했는데, 댄드리지는 나중에 프레민저의 조언을 후회하기도 했다.[21]

1971년, 프레민저는 의상 디자이너 호프 브라이스와 결혼하여 사망할 때까지 함께했다.[23] 두 사람 사이에는 쌍둥이 자녀 마크 윌리엄과 빅토리아 엘리자베스가 있었다.

5. 작품 목록

연도제목원제감독제작각본비고
1931위대한 사랑Die große Liebe
1936언더 유어 스펠Under Your Spell
1937Danger – Love at Work
1938유괴Kidnapped
1942The Pied Piper디센 소령 역으로 출연
1943Margin for Error
1943They Got Me Covered
1944In the Meantime, Darling
로라Laura아카데미 감독상 후보
1945A Royal Scandal
타락 천사Fallen Angel
1946Centennial Summer
1947포에버 앰버Forever Amber
데이지 케니언Daisy Kenyon
1949The Fan
소용돌이Whirlpool
1950인도가 끝나는 곳Where the Sidewalk Ends
195113번째 편지The 13th Letter
1953천사의 얼굴Angel Face
제17 포로수용소Stalag 17폰 셰어바흐 역으로 출연
푸른 달The Moon Is Blue
1954카르멘 존스Carmen Jones
돌아오지 않는 강River of No Return
1955빌리 미첼의 군사재판The Court-Martial of Billy Mitchell
1956황금팔을 가진 사나이The Man with the Golden Arm
1957성 잔 다르크Saint Joan
1958슬픔이여 안녕Bonjour Tristesse
1959포기와 베스Porgy and Bess
살인의 해부Anatomy of a Murder아카데미 작품상 후보
1960영광의 탈출Exodus
1962워싱턴 정가Advise and Consent
1963더 카디널The Cardinal아카데미 감독상 후보
1965위험한 길'In Harms Way''
버니 레이크의 실종Bunny Lake Is Missing
1967귀향Hurry Sundown
1968스키두Skidoo
1970Tell Me That You Love Me, Junie Moon
1971Such Good Friends
1975로즈버드Rosebud
1979인간 유전 인자The Human Factor


5. 1. 감독

연도제목감독제작
1931Die große Liebede
1936Under Your Spell
1937Danger – Love at Work
1938Kidnapped
1943Margin for Error
1944In the Meantime, Darling
Laura
1945A Royal Scandal
Fallen Angel
1946Centennial Summer
1947Forever Amber
Daisy Kenyon
1949The Fan
1950Whirlpool
Where the Sidewalk Ends
1951The 13th Letter
1953Angel Face
The Moon Is Blue
Die Jungfrau auf dem Dachde
1954River of No Return
Carmen Jones
1955The Man with the Golden Arm
The Court-Martial of Billy Mitchell
1957Saint Joan
1958Bonjour Tristesse
1959Porgy and Bess
Anatomy of a Murder
1960Exodus
1962Advise and Consent
1963The Cardinal
1965'In Harms Way''
Bunny Lake Is Missing
1967Hurry Sundown
1968Skidoo
1970Tell Me That You Love Me, Junie Moon
1971Such Good Friends
1975Rosebud
1979The Human Factor


5. 2. 배우

연도제목역할비고
1942피에드 파이퍼디에센 소령
1943오류의 여지칼 바우머
그들이 나를 덮쳤다파우셰임
1945우리는 여기서 어디로 가야 하는가?랄 장군크레딧 없음
1953제17 포로수용소폰 셔바흐 대령
지붕 위의 처녀목소리
1954서스펜스폰 바이센본 대위에피소드: "작전: 바라쿠다"
1960엑소더스배의 반대편 목소리크레딧 없음
1963재키 글리슨: 아메리칸 씬 매거진본인/공동 진행자에피소드: "재키 글리슨의 많은 세계"
1965바니 레이크는 실종되었다화면 속 예고편 진행자 및 내레이터크레딧 없음
1966배트맨아르트 쉬벨 박사/미스터 프리즈2개 에피소드
1968스키두목소리크레딧 없음
로완 앤 마틴의 래프 인게스트 출연자4개 에피소드
1977호빗엘프 왕 (목소리)텔레비전 영화



오토 프레민저는 유대인이었지만, 오스트리아 억양이 있었고 악역에 어울리는 외모를 가졌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게도 자신이 혐오했던 나치 인물 역할을 여러 번 맡게 되었다. 빌리 와일더 감독의 제17 포로수용소에서는 포로 수용소 소장인 냉혹한 독일군으로 출연하여 적역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와일더는 이를 재미있어했지만, 프레민저 본인은 곤혹스러워하며 연기했다고 한다.

감독으로 성공한 후에도 배우로서 활약했는데, 제17 포로수용소와 같은 독일인 장교 역할뿐만 아니라, TV판 배트맨에서는 미스터 프리즈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6. 수상 내역

연도영화제수상 부문작품
1945년아카데미상감독상 후보로라 살인 사건
1955년베를린 국제 영화제은곰상카르멘 존스
1960년아카데미상작품상 후보어떤 살인
1964년아카데미상감독상 후보더 카디널


참조

[1] 서적 Preminger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2] 웹사이트 RootsWeb: Database Index http://ssdi.rootsweb[...] 2016-07-17
[3] 웹사이트 Forgotten Hollywood: Otto Preminger https://goldenglobes[...] 2022-08-05
[4] 웹사이트 Otto Preminger https://www.tcm.com/[...]
[5] 서적 Otto Preminger: The Man Who Would Be King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LLC
[6] 서적 Preminger: an autobiography https://books.google[...] Doubleday
[7] 웹사이트 Otto Preminger Biography, Movies, Assessment,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8] 웹사이트 Otto Preminger http://www.hollywood[...] 2020-05-22
[9] 서적 Otto Preminger: The Man Who Would Be King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10] 서적 The World and Its Double: The Life and Work of Otto Preminger Macmillan
[11] 서적 Forever Amber: From Novel to Film BearManor Media
[12] 서적 The Official Batman Batbook Contemporary Books
[13] 웹사이트 Preminger, Otto https://www.sensesof[...] 2016-07-10
[14] 잡지 Balance of Terror: How Otto Preminger made his movies https://www.newyorke[...] 2008-01-14
[15] 웹사이트 Otto Preminger: The method in his madness https://www.independ[...] independent.co.uk 2005-03-25
[16] 웹사이트 Otto Preminger: Man and Myth https://www.afr.com/[...] The Australian Financial Review 2008-12-19
[17] 웹사이트 "A Life in Two Acts" https://www.courant.[...] The Hartford Courant 1992-04-26
[18] 웹사이트 Preserved Projects http://www.oscars.or[...]
[19] 웹사이트 Gypsy Rose Lee biography http://www.gypsyrose[...]
[20] 서적 Otto Preminger Interview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21] 웹사이트 Dorothy Dandridge Profile http://www.tcm.com/t[...]
[22] 웹사이트 Radical Chic: That Party at Lenny's https://nymag.com/ar[...] 1970-07-08
[23] 웹사이트 Otto Preminger biography https://www.imdb.com[...]
[24] 뉴스 OTTO PREMINGER, 80, DIES; PRODUCER AND DIRECTOR https://www.nytimes.[...] 1986-04-24
[25] 서적 Otto Preminger: The Man Who Would Be King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26] 서적 Resting Places: The Burial Sites of More Than 14,000 Famous Persons McFarland
[27] 웹사이트 5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28] 웹인용 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서울아트시네마 http://www.cinemathe[...] 2019-10-19
[29] 뉴스 장르의 외투를 입은 작가, 오토 플레밍거 회고전 http://www.cine21.co[...] 2005-10-17
[30] 뉴스 『영광의 탈출』감독, 오토·프레밍거 사망 https://www.joongang[...] 1986-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